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2025 김중규 ALL바른 선행정학 - 전3권

상품 정보
판매가 44100
할인판매가 44,100원 100%
할인금액 총 할인금액 원
(모바일할인금액 원)
적립금

2,210원(5.00%)

무통장 결제시 적립금 %

카드 결제시 적립금 %

실시간 계좌이체시 적립금 %

적립금 결제시 적립금 %

휴대폰 결제시 적립금 %

예치금 결제시 적립금 %

에스크로 결제시 적립금 %

가상계좌 결제시 적립금 %

가상계좌 결제시 적립금 %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2,8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
분철 or 표지
수량 up down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2025 김중규 ALL바른 선행정학 - 전3권
소비자가 49,000원
판매가 44,100원
적립금 2,210원 (5%)
저자 김중규
출판사 카스파
발행일 2024-06-18
판형 215*260mm
페이지 1028
ISBN 9791192405490
배송비 2,8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800원
  • 배송 기간 : 1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 확인여부를 확인한 후 3영업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
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그저 단편적인 지식의 집합이 아니라 공직에서 필요한 상식과 이론들이 거미줄처럼 연결된 한 편의 스토리입니다. 행정학의 바이블, 선행정학은 편린적인 행정학 지식을 모아놓은 책이 아니라 방대한 행정학을 이야기처럼 연결시켜 재밌게 풀어나간 책입니다. 강의 또한 이야기처럼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쉽고 재미있게 전개되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최근의 행정학 출제경향은 단편적인 암기위주의 정형화된 문제가 거의 자취를 감추고 새롭고 참신하게 응용된 문제, 종합형 문제, 스토리 문제, 추론형 사례문제, 새롭게 이슈가 되는 신경향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제 행정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면 고득점이 힘든 상황이 되었습니다. 더구나 2022년부터는 9급 행정학이 행정직렬 필수과목이 되면서 난이도도 높아졌고 이러한 경향은 2023~2024년에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목차

2025 선행정학개론을 펴내며 ii
2014 선행정학을 펴내며 iv
합격후기 vi
수강후기 x
행정학 공부방법 xvi
행정학 수험플랜 xvii
2025 선행정학 커리 xviiI
이 책의 특성과 보는 방법 xx

제1장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절 행정의 본질
01 행정의 개념 3
02 행정의 특성 8
03 공공재로서의 행정 9
04 행정의 변수 12
05 행정기능 13
06 행정과정 15

제2절 행정과 환경
01 행정과 정치 17
시장실패 모형 21
우리나라의 정치·행정관계 23
02 행정과 경영 23
03 행정과 법 26
04 시민사회와 제3섹터·NGO 28
중간조직의 다양한 유형 29
사회적 기업 34
05 사회적 자본 35

제3절 행정의 변천
01 국가와 행정의 변천 38
02 행정국가와 현대행정의 특징 40
03 신행정국가와 행정의 특징 43
진보주의 정부관 대 보수주의 정부관 45
04 후기산업사회(포스트모더니티)의 행정 46

제4절 행정의 존재이유-시장실패
01 시장실패 49
외부효과의 종류 51
02 정부규제 52
03 행정지도 61

제5절 행정의 한계-정부실패와 대응
01 정부실패 63
02 공공재의 적정 공급규모 66
03 감축관리 - 작은 정부론 68
04 공공부문의 민간화 70
바우처(voucher) 72
공급과 생산주체에 따른 공공서비스 공급방법 75
주요 민영화 방법별 장단점 76

제6절 행정의 지향과 가치
01 행정과 가치 78
02 행정이념의 변천과 관계 79
03 행정의 본질적 가치 82
04 행정의 수단적 가치 89

제7절 행정학의 특징과 체계
01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101
02 행정학의 접근법 104
행정학의 기타 접근법 106
03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107
우리나라 행정학의 발달과 특징 112

제8절 행정학의 주요이론
01 과학적 관리론 114
02 인간관계론 117
03 행태론적 접근 119
04 생태론적 접근 123
05 체제론적 접근 126
06 비교행정론 129
07 발전행정론 130
08 신행정론 132
09 현상학 135
10 비판행정학 138
11 담론행정 139
12 공공선택이론 141
13 신제도론 149
14 신공공관리론 157
신공공관리론의 정부혁신전략 160
신보수주의·신연방주의·신자유주의·제3의 길 161
15 거버넌스론 162
레짐이론(Regime Theory) 166
16 신공공서비스론 168
17 탈신공공관리론 개념 171
18 공공가치관리론 및 넛지이론 172
최근 행정이론의 변천과 정부역할의 재정립 173

제2장 정책론

제1절 정책과 정책과학의 본질
01 정책과학의 특성과 본질 185
02 정책의 본질과 유형 187

제2절 정책의제와 정책목표
01 정책의제의 설정 195
P.May의 의제설정모형 200
02 정책의제 설정에 관한 이론모형 202
03 정책네트워크(정책망) 모형 209
04 정책목표 213

제3절 정책분석과 미래예측
01 정책대안의 탐색과 평가 217
02 정책분석의 유형과 차원 219
03 체제분석 220
비용편익분석과 비용효과분석의 차이 226
04 관리과학 227
기타 관리과학기법 230
05 직관적(판단적) 예측 231
06 불확실성과 미래예측 235

제4절 정책결정
01 정책결정의 본질과 과정 239
우리나라의 정책결정(품의제도) 242
02 정책결정요인이론 243
03 개인차원의 의사결정모형 244
04 집단차원의 의사결정모형 253
흐름창(정책창) 모형 257
위기시 의사결정의 특징 258
집단적 의사결정 258
정책딜레마모형 259

제5절 정책집행
01 정책집행의 본질 261
02 정책집행에 관한 연구와 이론 262
03 정책집행이론 264
04 정책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272
정책설계 275
기획 276

제6절 정책평가와 환류
01 정책평가의 본질과 목적 278
정당하지 못한 정책평가 - 의사평가 279
02 정책평가의 유형과 방법 282
03 우리나라의 정책평가 - 정부업무평가 284
04 정책평가의 요소 287
05 정책평가의 방법 - 실험 291
06 정책변동과 환류 295
정책변동의 이론적 모형 297
분배의 불평등 지표 297

제3장 조직론
제1절 조직의 본질과 기초이론
01 조직의 의의 311
02 조직의 유형 312
Keidel의 조직유형 317
C.Handy의 삼엽조직 317
Cox.Jr의 조직유형 317
기타 탈관료제 조직 318
03 조직이론의 변천과 유형 318

제2절 조직행동론
01 인간관과 동기이론 323
기타 기대이론 324
02 조직문화 335
03 의사전달 338
04 갈등 340
05 권력 345
06 리더십 347
기타 현대적 리더십이론 354

제3절 조직구조론
01 조직의 구조변수 356
02 조직의 원리 363
수직적·수평적 조정기제(Daft) 367
03 관료제 369
04 관료제와 민주주의 373
관료제 옹호론 374
D.Yates의 관료제적 민주주의 374
05 애드호크라시(adhocracy) 375
학습조직의 다양한 특징 383
기타 탈관료제 조직 387
06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388
집단의 구성과 과업특성간의 관계 389
07 계선과 막료 389
08 위원회(합의제 행정기관) 392
행정위원회로서의 미국 독립규제위원회 393
09 정부조직체계 394
10 책임운영기관 399
11 공기업 및 공공기관 404
대리정부 409

제4절 조직환경론
01 거시조직이론 412
02 혼돈이론 418

제5절 조직관리론
01 공공관계 - 행정PR 422
02 정보공개 423
03 목표관리(MBO) 426
04 조직발전(OD) 429
05 전략적 관리 433
위기관리 434
06 리엔지니어링 434
07 총체적 품질관리(TQM) 435
08 시민헌장 - 행정서비스헌장 438
09 성과관리 - 성과중심의 행정 440
10 균형성과관리(BSC) 441

제4장 인사행정론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01 인사행정의 특징과 흐름 453
02 엽관주의 455
03 실적주의 458
04 직업공무원제도 461
05 대표관료제 464
06 중앙인사행정기관 468
07 적극적 인사행정 472
후기인간관계론 472
인적자원관리(HRM) 472

제2절 공직의 분류
01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476
인사청문 및 대상공직자 480
02 개방형과 폐쇄형 인사 481
03 계급제 485
04 직위분류제 486
우리나라 일반직공무원의 직업분류 492
우리나라 공직분류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492
05 고위공무원단제도 493

제3절 공무원의 임용
01 임용 500
02 시험 504

제4절 공무원의 능력발전
01 교육훈련 508
02 근무성적평정 511
직무성과 계약제도(직무성과 관리제도) 520
03 승진 521
04 배치전환 524
05 역량중심의 인사 526

제5절 공무원의 복지와 사기
01 공무원의 사기 530
고충처리제도 532
제안제도 532
02 공무원의 보수 533
우리나라의 성과급제 제도 - 연봉제 537
총액인건비제 538
03 공무원 연금 539
04 신분보장 542
05 공무원노조 - 공무원단체 549
공무원노조 관련 법적 규정 551

제6절 공직윤리와 부패
01 정치적 중립 555
02 공직윤리 558
03 공직부패 565
국민권익위원회 569
04 내부고발자 보호제도 569

제5장 재무행정론

제1절 예산의 개념과 본질
01 예산과 재정 583
02 예산 관련 법률 586
03 계획과 예산 592
국가재정운용계획 593
04 재무행정조직 593
05 예산의 기능 595
06 예산의 원칙 596
07 예산의 분류 600
프로그램예산제도 600

제2절 예산의 종류
01 세입·세출의 성질에 따른 구분 :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606
02 정부기금 608
03 통합예산(통합재정) 612
04 조세지출예산 616
05 남녀평등예산 618
06 예산의 성립시기에 따른 구분 : 본예산·수정예산·추가경정예산 619
07 예산불성립시 대처방안 :
준예산·잠정예산·가예산 620

제3절 예산결정이론
01 예산이론의 전개와 유형 622
02 예산의 합리주의와 점증주의 623
예산의 경제원리와 정치원리 627
A.Schick의 예산결정유형론 -과정예산·
체제예산 및 점증주의·점감주의 629
03 자원의 희소성과 공공지출관리의 규율 629

제4절 예산제도론
01 품목별 예산 (LIBS) 633
02 성과주의 예산 (PBS) 635
03 계획예산 (PPBS) 639
04 영기준예산 (ZBB) 643
05 자본예산 (CBS) 649
06 신성과주의예산 (NPB) - 결과기준예산 652
각국의 재정개혁 - 신성과주의예산의
국가별 사례 655

제5절 예산과정
01 예산주기 661
02 예산의 편성 663
03 예산심의 667
국회의 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성격 669
04 예산집행 671
계속비와 장기계속계약제도의 비교 677
세출예산·계속비·국고채무부담행위의 비교 677
05 구매행정 (조달행정) 681
구매행정의 동향 681
06 결산 683
세계잉여금 685
07 정부회계 686
현금주의와 발생주의의 수정 691
08 회계검사 693
독립기관 행정의 자율성 696

제6장 행정환류와 정보화

제1절 행정책임
01 행정책임 705
02 행정통제 710
03 옴부즈만제도 715
민원 행정 718
04 행정참여 719
시민참여의 행태와 단계(Arnstein) 721
05 주민참여예산제도 722

제2절 행정개혁
01 행정개혁의 본질 725
02 선진국의 행정개혁과 교훈 730
03 우리나라의 행정개혁 733
우리나라 주요 제도·정책 도입 및 법률
제정연도 737

제3절 정보화와 행정
01 지식정보화사회와 행정 740
02 행정정보체계 743
03 전자정부 748
04 지식행정관리 757

제7장 지방자치론

제1절 지방자치의 기초이론
01 지방행정의 개념과 특징 767
02 지방자치의 본질과 가치 768
03 자치권 771
04 지방자치의 변천과 역사 - 지방분권·신중앙집권·
신지방분권 773
05 우리나라의 지방자치 777

제2절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와의 관계
01 정부간 관계 785
기타 IGR 이론 787
02 중앙통제 788
자치유형별 중앙통제의 특징 789
03 특별지방행정기관 (일선기관) 794
04 정부간 갈등과 분쟁 797
05 광역행정 799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01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805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관계 805
02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810
03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812
04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813
지방의회의 회의 운영 817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과 사무
01 지방자치단체의 기능 배분 824
02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828
가족관계 등록사무(구 호적사무)의 성질 832
교육자치 833
경찰자치 833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01 지방재정의 본질과 체계 836
지방재원의 구분 838
정부지원금(조정재원)의 종류 838
02 지방재정력의 평가 843
자주재원주의와 일반재원주의 843
03 지방세 844
국세와 지방세간 세원 조정시 고려사항 847
국세의 지방세 전환시 고려사항 847
04 세외수입 850
세외수입의 체계 850
05 지방공기업 851
06 국고보조금 852
07 지방교부세 854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광역자치단체의
재정조정제도 857
08 지방채 857
09 지방자치단체 기금 859

제6절 지방자치와 주민
01 주민참여(주민통제) 861
02 주민감사청구 862
03 주민조례청구(주민발안제도) 863
04 주민소송 865
지방선거제도 871

제7절 도시행정
01 도시행정 874

찾아보기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