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개정3판에서는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경찰공무원법', '경찰관직무집행법', '형소법', '범죄수사규칙', '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등을 중심으로 담긴 경찰조직과 수사조직의 개편 내용을 모두 담아내었다. 그리고 새로 창설된 국가수사본부와 새로 도입된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대한 모든 법조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2022년 초에 시행된 경찰채용시험의 출제 트렌드 및 경찰정책의 변화 등을 적극 반영하였다.

이어서 경찰학의 학문적 정의를 명확하게 하고 경찰제도의 역사적 변천을 재정리하였다. 경찰조직관리와 경찰인사관리 부분도 보완 설명하였다. 그리고 경찰행정법 분야에서도 2022년 개편 경찰시험 문제를 검토한 후 출제범위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최근 경찰의 관련 법률과 조직개편을 통해 정보경찰이 공공안녕정보경찰로 개편된 내용들을 재정리하였다. 그리고 2022년 1월 본격 시행에 들어간 경찰청 범죄수사규칙과 검사와 사법경찰관 간의 협력 관련 일반 수사준칙 등도 함께 다루어졌다.

목차

제 1 편 경찰학의 개관


제 1 장 경찰학의 이론적 배경
제 2 장 한국경찰의 역사
제 3 장 경찰활동과 법적 근거

제 2 편 경찰의 행정관리

제 4 장 경찰기획과 홍보
제 5 장 경찰조직관리
제 6 장 경찰인사관리
제 7 장 경찰의 예산관리

제 3 편 경찰의 활동과 통제

제 8 장 경찰의 윤리
제 9 장 경찰과 인권
제 10장 경찰의 통제
제 11장 비교경찰제도론

제 4 편 분야별 경찰실무

제 12장 생활안전경찰(자치경찰)
제 13장 경비경찰
제 14장 공공안녕정보경찰
제 15장 교통경찰(자치경찰)
제 16장 수사경찰
제 17장 안보수사경찰
제 18장 외사경찰
제 1 편 경찰학의 개관


제 1 장 경찰학의 이론적 배경
제 2 장 한국경찰의 역사
제 3 장 경찰활동과 법적 근거

제 2 편 경찰의 행정관리

제 4 장 경찰기획과 홍보
제 5 장 경찰조직관리
제 6 장 경찰인사관리
제 7 장 경찰의 예산관리

제 3 편 경찰의 활동과 통제

제 8 장 경찰의 윤리
제 9 장 경찰과 인권
제 10장 경찰의 통제
제 11장 비교경찰제도론

제 4 편 분야별 경찰실무

제 12장 생활안전경찰(자치경찰)
제 13장 경비경찰
제 14장 공공안녕정보경찰
제 15장 교통경찰(자치경찰)
제 16장 수사경찰
제 17장 안보수사경찰
제 18장 외사경찰